오늘은 변호사/조세

성과급 세금 기준 완벽 정리(성과급 1,000만원 받으면 실수령액은?)

오늘은변호사 2024. 1. 29. 21:28
반응형

성과급 세금을 얼마나 떼어가는 것인지 그 기준이 궁금하여 들어오신 분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번 해 성과급이 터져서 1,000만원을 준다고 하는데,

 

그러면 성과급 세금 떼고 통장 실수령액 얼마 찍히는 건지

 

공인회계사인 제가 깔끔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성과급 세금 (원천징수) 계산방법

 

매달 월급 받을 때 간이세액표에 따라 계산한 소득세 및 4대보험료를 공제하고 지급하는데요.

성과급도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입니다.  

 

아주 간단히 말씀드리면,

성과급을 매월 균등하게 나누어 받았다고 가정했을 때 그 동안 원천징수했어야 하는 세금 총액에서 부족한 만큼

성과급에서 공제하는 방식입니다.

 

소득세법 제136조(상여 등에 대한 징수세액) 
① 원천징수의무자가 근로소득에 해당하는 상여 또는 상여의 성질이 있는 급여(이하 “상여등”이라 한다)를 지급할 때에 원천징수하는 소득세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계산한다. 종합소득공제를 적용함으로써 근로소득에 대한 소득세가 과세되지 아니한 사람이 받는 상여등에 대해서도 또한 같다.
1. 지급대상기간이 있는 상여등:  그 상여등의 금액을 지급대상기간의 월수로 나누어 계산한 금액과 그 지급대상기간의 상여등 외의 월평균 급여액을 합산한 금액에 대하여 간이세액표에 따라 계산한 금액을 지급대상기간의 월수로 곱하여 계산한 금액에서 그 지급대상기간의 근로소득에 대해서 이미 원천징수하여 납부한 세액(가산세액은 제외한다)을 공제한 것을 그 세액으로 한다.
2. 지급대상기간이 없는 상여등:  그 상여등을 받은 과세기간의 1월 1일부터 그 상여등의 지급일이 속하는 달까지를 지급대상기간으로 하여 제1호에 따라 계산한 것을 그 세액으로 한다. 이 경우 그 과세기간에 2회 이상의 상여등을 받았을 때에는 직전에 상여등을 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그 후에 상여등을 받은 날이 속하는 달까지를 지급대상기간으로 하여 세액을 계산한다.
3. 제1호와 제2호를 계산할 때 지급대상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년으로 보고 1개월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에는 1개월로 본다.

 

반응형

 

예컨대 1~6월 상반기 상여금을 7월에 지급하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1~6월 기본급은 200만원, 상반기 상여금은 600만원.  

 

상반기 상여금을 지급대상기간의 월수(6개월)로 나누면 100만원(=600만원 / 6).

이 100만원에 지급대상기간의 월평균 급여액(200만원)을 더하면 300만원이 됩니다. 

 

상여금을 매달 나누어 줬다면 월 300만원을 받는 셈이죠.

 

300만원에 대하여 간이세액표에 따라 계산한 세액(74,350원)에 지급대상기간의 월수(6개월)를 곱한 금액은 446,100원. 

즉, 월 300만원씩 받았다면 지금까지 446,100원을 원천징수 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 동안 월 200만원씩 받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200만원에 대해 간이세액표에 따라 계산한 매월 19,520원씩만 원천징수 했었습니다.

6개월 동안 원천징수한 금액 합계는 117,120원. 

 

월 300만원씩 받았을 경우 지금까지 원천징수 했어야 하는 금액인 446,100원에서,

그 동안 원천징수한 117,120원을 차감한 328,980원

바로 이 금액이  상여금 600만원에 대한 원천징수세액이 됩니다 (지방소득세 10% 32,898원 별도).

 

이 금액을 상여금 줄 때 공제하고 주면

결과적으로 매월 300만원씩 받은 사람과 동일한 금액을 원천징수하여 납부한 셈이 되겠죠?

 

 

월급 200만원 받을 때 소득세 약 2만원 떼어갔는데(약 1%),

성과급 600만원 받으니 세금을 30만원 정도 떼어갑니다(약 5%). 

 

성과급 받을 때 생각보다 실수령액이 적게 찍히죠? 

 

우리나라 소득세는 누진세율 구조여서,

성과급으로 급여 총액이 늘어나면 그만큼 실효세율도 늘어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성과급 지급대상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1월 초부터 그 상여 지급일이 속하는 달까지를 지급대상으로 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성과급과 4대 보험료

 

성과급에서도 4대 보험료를 당연히 공제해갑니다.

 

이건 요율이 정해져 있으니까, 그 요율대로 곱해서 내면 되겠죠?

 

 

성과급 실수령액 계산기?

 

이건 만들기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4대 보험료는 쉽게 계산할 수 있는데,

성과급에서 공제되는 세금이 얼마인지는

그 사람의 기존 월급이 얼마인지, 매달 원천징수 소득세가 얼마인지까지 알아야 가능하거든요.

 

다만 위에서 설명드린 방법을 이용하여 혼자 계산해보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성과급 연말정산

 

참고로 성과급 세금은 연말정산을 통해 결국 정리되기 때문에,

 

원천징수를 많이 하면 나중에 많이 돌려받고, 적게 하면 나중에 적게 돌려받는 구조랍니다.

 

결국은 조삼모사.  그래도 고금리를 생각하면 적게 떼는 게 기분도 좋고 이율만큼 이득이기도 한 부분입니다!

 

 

매월 월급 실수령액은 어떻게 결정되는 것인지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1분만 투자하시면 완벽하게 이해되실 겁니다.

 

https://qusghtk.tistory.com/90

 

연말정산이란 무엇인가 (세전 세후 차이에 대한 이야기)

이제 곧 연말정산 시즌입니다. 연말정산이 되면 돈을 돌려받거나 내거나 하는데, 이 시스템은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요? 그 전에, 매달 통장에 찍히는 월급, 즉 세전 세후 월급 차이는 어떻게 결

qusghtk.tistory.com

 

반응형